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SS
- npm
- 우아한형제들
- 주간 회고
- 우아한테크캠프
- Hello Coding HTML5+CSS3
- 네이버 테크 콘서트
- ES6
- html
- 우아한테크코스
- 자바스크립트
- 토이 프로젝트
- 레인지 슬라이더
- 회고의 회고
- AWS
- 코드스쿼드
- 인사이드 자바스크립트
- toast
- express
- 프로그래머스
- 개인 프로젝트
- 함수
- 토이프로젝트
- 우아한테크캠프 4기
- 모듈 배포하기
- 자바스크립트 객체
- 알고리즘
- 리액트
- 러닝 자바스크립트
- 자바
- Today
- Total
목록아티클 (8)
블로그
https://ui.toast.com/weekly-pick/ko_20210603 자바스크립트에서 switch (true) 패턴 사용하기 | TOAST UI :: Make Your Web Delicious! 자바스크립트에서 switch (true) 패턴 사용하기 원문: Sean Barry, https://seanbarry.dev/posts/switch-true-pattern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훌륭한 패턴이 있다. 필자는 Vortexa의 애플리케이션 개발팀(채용 중)에 합 ui.toast.com switch문의 식을 true로 주게 되면, 문자열이 아닌 표현식의 성립 여부로 조건을 검사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알아만놓고 딱히 사용하지 않은 패턴이었다. 왜 그런가 생각해보니 if / else를 가독성을..
[LINE Engineering] TypeScript enum을 사용하지 않는 게 좋은 이유를 Tree-shaking 관점에서 소개합니다. TypeScript의 기본 타입 중 하나인 enum은 다른 언어를 공부했던 사람들이라면 알고 있을(?) 타입이다. enum은 enumeration의 약자로 열거형을 의미하며, 배열처럼 키(인덱스)로 접근해서 값을 가져오거나, 맵처럼 키로 접근해서 값을 가져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타입스크립트에서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 기본 시작 값은 0. enum Fish { Rockfish, Shark, Boxfish } let f: Fish = Fish.Rockfish; console.log(f); // 0 // 시작 값 변경 enum Fish2 { Rockfis..
https://ui.toast.com/weekly-pick/ko_20190731 포스팅을 읽으며, 최근 진행한 미션이 생각났다. 이번에 팀 미션으로 2주간 리액트를 학습하며,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미션과 학습을 함께 진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팀원들과 어떻게 진행해야 할 지 회의를 했고, 첫 주는 리액트에 대한 학습만 하기로 결정했다. 투두리스트 자체를 바닐라로 구현했을 때,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미션이 아니니 괜찮겠다는 안일한 마인드도 있었기에 미션 기간의 절반을 통크게 학습 비용으로 설정했다. 하지만 여러 컬럼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 그리고 프론트엔드 끼리 작업하므로 간단한 API를 직접 구축해야 하는 상황(사실 이건 몽고로 CRUD만 구현해서 헤로쿠로 배포했기에 어려운 작업은 아니었..
https://ui.toast.com/weekly-pick/ko_20201110 이번에 코드스쿼드에서 투두리스트 미션을 진행하며, 초기 로딩 시 잠깐 지연이 발생하는 시간 동안 로딩 UI를 보여주면 어떨까라고 생각했었는데 생각만으로 그쳐버렸다. 하여 다음 미션에라도 구현을 해보자고 생각하며 찾아보던 중 스켈레톤 UI를 알게되고 여차해서 토스트의 포스팅까지 도달하게 됐다. 스켈레톤 UI는 프로그레스바, 로딩 UI 등을 콘텐츠를 불러오는 동안 사용자의 지루함을 줄여주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UI를 의미한다. 읽으면서 문득 이전 회사에서 간단한 스피너를 만들어서 사용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몇몇 API의 응답 시간이 길었기에 개선 기간 동안 잠시 사용하려던 UI였지만 막상 만들고 나서 적용했더니 클라이언트가 예상..
https://woowabros.github.io/experience/2020/05/13/birth-of-team-culture.html 팀 문화의 탄생 -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 안녕하세요, 우아한형제들 상품시스템팀의 손권남입니다. woowabros.github.io 우아한형제들의 상품시스템팀의 개발 문화에 대한 내용이 담겨져 있는 포스팅이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코드스쿼드 과정도 페어프로그래밍을 진행하고 있는데 페어프로그래밍의 중요한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상품시스템팀은 KPT (Keep, Problem, Try)를 통해 회고를 진행한다. KPT는 아래와 같다. Keep : 잘하고 있는 점. 계속 했으면 좋은 것들 Problem : 문제점. 변화가 필요한 것들 T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