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주간 회고
- 코드스쿼드
- 인사이드 자바스크립트
- 리액트
- 자바스크립트 객체
- ES6
- 자바
- 토이프로젝트
- 우아한테크코스
- toast
- express
- 자바스크립트
- 회고의 회고
- 토이 프로젝트
- npm
- 레인지 슬라이더
- 모듈 배포하기
- 개인 프로젝트
- 알고리즘
- 우아한형제들
- 함수
- CSS
- 우아한테크캠프
- 우아한테크캠프 4기
- 프로그래머스
- 네이버 테크 콘서트
- 러닝 자바스크립트
- Hello Coding HTML5+CSS3
- html
- AWS
- Today
- Total
목록코드스쿼드 (17)
블로그
5월 10일 코드 리뷰 받은 내용을 반영하며, 리팩토링을 하는 시간이었다. 페어 프로그래밍과 분업의 기준을 나누는 사항은 언제나 고민이 많이 되는 느낌... 결과적으로 그동안 충돌이 나지 않는 부분만 분업을 진행했다면 이번에는 고의적으로 충돌을 발생시키기 위해 겹치는 부분을 분업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결정. 5월 11일 오프라인에서 페어 프로그래밍을 진행하면서, 분업할 사항이 남아있어 결과적으로는 모각코 느낌으로 진행했다. 송구 결과를 저장하는 부분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역순 정렬은 flex의 reverse를 활용하는 것으로 해결. 5월 12일 우아한 테크캠프 합격 메일을 받았다. 우테코와는 다르게 1차와 자소서를 함께 보는게 아니라 2차 까지 보고 나서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때문에 기회가 온게 아닐까..

5월 3일 그동안 백엔드와 직접 개발을 하지 않았기에 API를 직접 구축하여 개발했지만 이번에는 처음으로 백엔드 인원과 함께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됐다. 처음만나서 어색한 상황이었기에 주도적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분위기를 조성하려 노력했고, 다행히 성과가 있었다. API로 요청하거나 응답받을 데이터에 대해 많은 회의를 했고, 기본적인 형태를 정의할 수 있었다. 5월 4일 페어프로그래밍과 분업을 모두 채택하여 진행했다. 이번주는 코딩테스트가 3개가 몰려있었기에 팀원과 협의 후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방향을 생각했고, 다행히 팀원인 카일도 이번에 응시한다고 하여 흔쾌히 온라인 진행으로 결정!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페어 프로그래밍을 진행했고, 이후 기본적인 UI는 분업을 실시했다. ..

4월 26일 CSS 위주로 작성하면서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할 지에 대해서 많은 회의를 나눌 수 있었다. 개발을 위해 나아갈 걸음이 많은데도 추가적으로 시도해보고 싶은 리액트 npm 모듈 보일러 플레이트나 스켈레톤 컴포넌트, 타입스크립트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다행히 배려심이 깊은 팀원이라 잘 이해해주셨다.. 4월 27일 오프라인에서 페어프로그래밍을 진행했다. 30분 마다 교대하는 방식을 몇시간이나마 진행해보고, 이벤트 구현과 API 수정 작업 등을 위주로 진행했다. 또한, 슬라이드의 대략적인 설계도 진행할 수 있었다. 4월 28일 대부분의 요구사항 구현 및 기존 구현 사항의 리팩토링, 슬라이드의 개발을 진행했다. 대체적으로 부드럽게 진행이 됐지만 슬라이드의 개발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언제나 그렇..

저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캐로셀을 만들었고, npm 배포까지 성공했다! 👍 프로젝트 기간 내에 배포를 마치고 싶었지만 추가적인 기능을 좀 더 고려하면서 기능을 구현하려고 하다보니 프로젝트가 끝나고 난 뒤에도 시도해보는 게 어떻겠냐는 얘기가 나왔고 덕분에 일요일을 빌려 완성할 수 있었다. 전부 구현하지는 못했지만 필수적이라 생각한 기능들은 구현해서 배포했고, 만족스러운 경험이었다! 컴포넌트 설계 처음에 컴포넌트를 설계하는 회의를 마치고 자고 일어났더니 @디코가 멋진 이미지를 만들어주셨다. 덕분에 의욕이 더 고취되어 성공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 옵션 키 기본값 설명 구현 여부 perPanel 4 하나의 패널에 보여줄 컴포넌트 갯수 O speed 500 트랜지션의 속도 (단위 : ms) O ..

4월 19일 새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회고와 대략적인 기획안들은 노션을 통해 정리할 예정이다. 이번에도 첫날은 개발 환경 구축 및 협업 규칙에 대한 회의를 진행했다. 새로운 프로젝트에 들어갈 때 마다, 이번에 만날 팀원과의 케미도 좋았으면 하는 생각을 하는데 정말 운이 좋은 건지 배려심 깊고 소통이 잘 되는 분들만 만나는 거 같아 많이 행복하다 ::) 이번에는 이슈 기반 개발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슈를 발행하고 이슈에 맞는 브랜치를 생성한 뒤, 개발이 완료되면 pr 과정에서 Resolve 등의 키워드를 통해 PR과 동시에 이슈를 닫으며, 작업이 완료된 브랜치도 삭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리고 컴포넌트에 대한 기본적인 구조 설계를 진행했다. 4월 20일 오프라인에서 페어프로그래밍을 진행했다..